허리나 어깨가 자주 아프거나, 수술 이후에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을 때 통증의학과를 찾게 되는데요. 통증의학과라는 이름만으로는 정확히 어떤 진료를 받는 곳인지, 무슨 치료를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증의학과에서 하는 일, 치료 대상, 그리고 치료 방법까지 자세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통증의학과란 어떤 과일까?
통증의학과(마취통증의학과)는 단순히 ‘마취’만 하는 과가 아닙니다. 급성통증, 만성통증, 암성통증, 수술 후 통증 등 다양한 통증을 전문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진료과목입니다.
예전에는 ‘통증클리닉’이라고도 불렸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비수술적 통증 치료를 중점적으로 진행합니다.
통증의학과에서 하는 주요 진료 업무
1. 만성 통증 치료
가장 대표적인 진료 분야입니다.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통증은 단순 진통제로 해결되지 않으며, 통증 원인을 찾아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 만성 요통(허리 통증)
- 만성 두통, 편두통
- 신경병증성 통증
- 섬유근통 증후군
2. 척추·관절 통증 관리
정형외과 질환이나 신경외과 질환이 있더라도 수술 없이 통증을 조절하고 싶은 경우 통증의학과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디스크성 요통
- 협착증
- 무릎 관절염
- 어깨 충돌 증후군
3. 신경 차단술 및 주사 치료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차단하거나 염증을 가라앉히는 주사 치료도 통증의학과에서 시행합니다.
- 경막외 신경차단술
- 척추 주사(신경근 블록)
- 관절강 내 주사
- 보툴리눔 톡신 주사 (근육통 완화 목적)
4. 암성 통증 관리
암 환자들에게 발생하는 극심한 통증도 통증의학과에서 관리합니다. 마약성 진통제 조절, 신경 차단술 등을 통해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5. 대상포진 후 신경통 치료
대상포진 이후 신경통이 남아 오래도록 아픈 경우, 신경차단치료나 고주파 치료 등을 시행하여 신경통을 줄이는 치료도 통증의학과에서 담당합니다.
어떤 검사와 치료를 받을 수 있을까?
검사/치료 항목 | 설명 |
---|---|
통증 평가 및 진단 | 통증의 위치, 강도, 양상 분석 |
영상검사 | MRI, CT, 초음파 등 진단 보조 |
약물치료 | 진통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등 |
신경차단술 | 신경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 유발 차단 |
고주파 열응고술 | 고주파로 통증 유발 신경 소작 |
체외충격파 치료 | 만성 통증에 대한 물리 자극 치료 |
이런 분들이 통증의학과에 가면 좋아요
- 수술 없이 통증을 관리하고 싶은 분
- 진통제를 먹어도 계속 아픈 분
- 만성적인 어깨, 허리, 무릎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분
-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남아 있는 분
- 반복적인 디스크나 협착증 증상이 있는 분
통증의학과 진료는 어떻게 예약할까?

국공립병원, 대학병원, 개인 통증클리닉 등 다양한 의료기관에서 통증의학과 진료를 운영 중입니다. 진료를 원하신다면 병원 홈페이지나 진료예약 시스템을 통해 쉽게 예약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통증의학과를 방문해 보세요. 수술 없이도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한 다양한 방법이 기다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