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재료 중 하나가 바로 ‘소금’입니다. 하지만 레시피에 ’15g’이라고만 써 있다면, 정확히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히는 경우가 많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금 15g이 어느 정도 분량인지 다양한 방식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소금 15g의 부피는 얼마나 될까?
소금은 종류와 입자 굵기에 따라 부피가 다르게 측정되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인 굵은소금(천일염)과 정제소금(고운소금) 기준으로 나눠 설명드릴게요.
소금 종류 | 15g은 몇 큰술? | 15g은 몇 작은술? | 참고 |
---|---|---|---|
정제소금 | 약 1큰술 | 약 3작은술 | 입자가 작아 압축됨 |
굵은 천일염 | 약 1.5큰술 | 약 4.5작은술 | 입자 사이 공기층 많음 |
※ 계량 기준: 큰술(1Tbsp) = 15ml / 작은술(1tsp) = 5ml
종이컵으로 보면 소금 15g은?
종이컵(180ml 기준)으로 계량했을 때, 소금 15g은 아주 적은 양입니다. 정제소금 기준으로 약 1/10컵도 채 되지 않으며, 컵 바닥을 얇게 덮는 정도의 양입니다. 정확하게 측정하기엔 부정확하므로 계량스푼 사용을 권장합니다.
손으로 잡았을 때의 양은?
요리할 때 손으로 ‘꼬집어 넣는다’는 표현을 쓰기도 하죠. 소금을 손가락 세 개(엄지, 검지, 중지)로 집었을 때의 양을 한 꼬집이라고 하는데, 이건 약 1g 정도입니다.
즉, 15g은 꼬집 기준으로 약 15번 넣는 양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금 15g이 얼마나 짤까?
정제소금 15g은 나트륨 함량 기준으로 약 나트륨 5,850mg 정도로 매우 높은 편입니다.
단순히 ‘밥에 뿌리기’에는 상당히 짜므로, 국 4~5인분에 넣는 간맞춤용이나 김치 담글 때 사용되는 양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워요.
요리별 소금 15g 사용 예시
요리명 | 사용 예시 |
---|---|
된장국 4~5인분 | 간을 맞출 때 사용하는 소금량 |
나물무침 | 대량 무침(3~4가지 기준) |
김치소금물 | 절이는 용도로 15g 이상 필요 |
정확한 계량이 필요할 땐 계량스푼 또는 저울 추천
소금은 조금만 많아도 맛이 확 달라지기 때문에, 레시피에 따라 정해진 g 수를 계량스푼 또는 디지털 저울로 정확히 재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베이킹이나 절임 요리처럼 정확성이 중요한 경우라면 전자저울 사용이 필수라고 볼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소금 15g은 생각보다 꽤 많은 양이며, 음식 종류에 따라 그 쓰임새도 달라집니다. ‘1큰술 정도’라는 감으로만 넣기보단, 가정에서도 계량도구를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면 음식의 완성도가 훨씬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간을 정확히 맞추는 것이 요리 실력을 높이는 지름길이니까요!